2013년 1월 17일 목요일

성씨 본관

제9장 515개 성씨의 기원(起源)과 시조(始祖) 및 본관(大宗)






한국은 나라(國家)를 중심으로 단군조선, 부여, 삼한, 고구려, 신라, 백제, 가야, 대진국(발해), 고려, 조선을 이어온 나라로, 중국은 땅(地域)을 중심으로 요임금, 순임금, 하, 은, 주, 진, 한, 진, 수, 당, 송, 명 등을 이어온 나라로 설정하고, 그외 몽골, 여진과 만주는 민족(民族)을 중심으로 하여 각 성씨의 기원, 시조, 본관 및 각 본관의 시조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특히 한국과 중국 중 어느 성씨가 먼저 출현한 경우 그것을 먼저 적는다. 그리고 단군왕검과 요임금 이전부터 있었던 성씨는 배달나라(檀國)로 설정하여 적는다.





1. 賈



[중국]



시조는 공명(公明)으로 서기전 2300년경 요(堯)임금의 작은 아들이며 가(賈)의 땅에 봉해져 가씨가 되었다. 주(周)나라 혜왕(서기전 677-652) 때 가화(華)라는 사람이 있고, 한(漢)나라 후기에 낭중령(郞中令)의 벼슬을 지낸 가수(壽)는 사람이 있다. 또 진(晉)나라 사람으로 가효(孝)라는 자가 있는데 사성을 받아 가씨가 되었다 한다.



[한국]



<蘇州가씨> 시조는 維廾인데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우고 전사하였다 한다.





2. 價



[한국]



<鎭安가씨>, <高山가씨>





3. 簡



[중국]



簡伯의 후손이라 한다.



[한국]



<加平간씨> 시조는 간유(有)로 고려 제 25대 충렬왕(서기 1275-1309) 때 중랑장(中郞將)의 벼슬을 지냈다.





4. 竿



[한국]



<東州(철원)간씨>, <해주간씨>





5. 干



[중국]



<潁川>



[한국]



<南陽간씨>, <羅州간씨>, <慶州간씨>





6. 間



미상





7. 葛



[중국]



<頓丘>



[한국]



갈천(天)의 후손 또는 諸葛씨의 후손으로 신라 흥덕왕(서기 826-836) 때 귀화하였고 고려 고종(서기 1214-1260) 때 형 제갈홍(泓)은 제(諸)씨로 동생 제갈영(瀯)은 갈씨로 나누어 졌다 한다. 한편 고구려 장수왕(서기 412-491) 때 갈로(盧)라는 장수가 있었다.



<西原(淸州)갈씨> 시조는 제갈영(瀯)이다. 제갈성남(成南)이라는 사람은 아경(亞卿)의 벼슬을 지낸 자로 최자의 보한집에 실려 있는 인물이다.





8. 碣



[한국]



<牟平(咸平)갈씨>





9. 甘



[중국]



은나라(서기전 1766-1122) 때 감반(盤)이라는 사람이 있고, 주(周)나라 문왕(文王)의 삼자(三子)인 감숙대(叔帶)가 있으며, 후한(後漢 서기 23-220) 때 감영(英)이라는 사람은 반초(班超)의 부장(部將)으로서 로마를 진격하다 실패하고 회군하였다 한다.



[한국]



<合浦(창원)감씨> 시조는 감성조(成朝)로 본래 이(吏)씨인데 고려 우왕(서기 1375-1388. 辛禑) 때 사람이다.





10. 姜



[배달]



<天水> 시조는 염제신농(炎帝神農)인데 원래는 배달나라 우가(牛加)를 지냈으며 후에 염제국의 시조가 되었다. 염제신농국은 서기전 3218년부터 서기전 2698년까지 8대 521년간 이어졌고, 서기전 2697년 갑자년에 다시 그 후손이 봉해져 단웅국이 되어 서기전 2333년 비왕으로 섭정하던 단군왕검이 요임금의 난을 피하여 아사달로 옮겨서 조선을 건국하였다. 천수는 황하 중상류 부근의 위수(위수)에서 갈라진 강으로 기수(기수)라고도 한다.



[한국]



<晉州강씨> 시조는 강이식(以式) 장군으로 고구려의 병마원수이다. 고구려 제26대 영양왕 8년(서기 597)에 수(隋)나라 문제(文帝)의 군사 30만명을 5만의 정병으로 요동 임유관(臨硝關)에서 격퇴하여 요동땅을 사수하였다. 그후 을지문덕장군과 더불어 수양제의 군사 100만 대군을 살수에서 무찔렀다. 그외 강씨의 다른 본이 있으나 원래 같은 강씨이고 진주강씨가 대종이다. 강감찬(衿川강씨), 강민첨(은열공파 중시조), 강우규(독립투사) 등 인물이 유명하다.





11. 康



[중국]



都始祖 주(周)나라 또는 위(衛)나라 사람으로 기자(箕子)의 막료였던 강숙(叔)의 후손이다.



[한국]



시조는 도시조인 강숙의 후손으로 신라 말엽에 자칭 성골장군이라 한 강호경(虎景)의 아들인 강충(忠)의 아들 강보육(寶育)이다. 강보육은 고려태조 왕건의 외고조부로서 원덕대왕으로 추존되었다.



<信川강씨>시조는 匍匐의 아들 강지연(之淵)인데 고려 고종(서기 1214-1260) 때 몽고침입시 扈從공신으로 신성부원군에 봉해졌고 시호는 충렬공이다.





12. 江



[중국]



<濟陽> 하(夏)나라 때(서기전 2200경) 사람인 백익(伯益)의 후손이다.



[한국]



<押海(羅州)강씨> 시조는 강홍(洪)으로 부호장(副戶長)을 지냈다.





13. 强



[중국]



강琳(晉나라 대부)



[한국]



<忠州강씨>





14. 蓋



[중국]



<汝南>



[한국]



시조는 개多弗로 고려 현종 8년(서기 1017경)에 귀화하였다고 한다.





15. 介



[중국]



<太平>





16. 巨



[중국]



거람(覽)은 한(漢)나라 순제(順帝)(서기 125-144) 때 사람이다.)



[한국]



巨仁은 신라 진성왕(서기 887-897) 때 사람이다.





17. 騫



[중국]



<山陽>



[한국]



<嘉禾(松禾)건씨>





18. 乾



미상





19. 黔



[한국]



금강(剛)은 고려태조 원년(서기 918)에 內奉令을 지낸 사람이다.





20. 甄



[중국]



견풍(豊)은 한(漢)나라 때 사람이다.



[한국]



<黃磵견씨> 시조는 견훤(萱)인데 후백제 시조로, 신라 진성여왕 6년인 서기 892년에 광주에서 기병하여 효공왕 4년 서기 900년에 전주에서 후백제 건국하였다. 경애왕을 죽이고 경순왕을 세웠다.



<尙州견씨> 시조는 아자개(阿慈介)로 본래 이(李)씨 또는 김(金)씨로 진흥왕의 후손이 된다. 견훤의 아버지이다.





21. 堅



[중국]



견梊은 한(漢)나라 광무(光武)(서기 24-57) 때 사람이다.



[한국]



<川寧(驪州)견씨> 시조는 견희복(希福)으로 고려 개국공신인 견權의 후손이다.





22. 見



[한국]



견달(達)은 고려 태조 19년(서기 936)에 견훤을 사로잡은 사람이다.





23. 견(哪犬合字)



[한국]



견철(鐵)은 고려태조 원년(서기 918)에 內軍장군을 지낸 사람이다.





24. 決



[한국]



<南陽결씨>





25. 咸



[한국]



<長豊(延豊)겹씨>





26. 慶



[중국]



경정(鄭)은 주(周)나라 양(襄)왕 때 진(晉)의 대부(大夫)로 제(齊)나라 공족(公族)인 경보(父)의 후손이며 본래는 강(姜)씨이다.



[한국]



<淸州경씨> 시조는 경진(珍)으로 고려 명종(서기 1171-1197) 때 중서시랑평장사를 지냈다. 아들이 경대승(대장군)이다.





27. 景



[중국]



경강(監)은 주(周)나라 현(顯)왕 때 진(秦)나라 사람으로 초(楚)나라 공족(公族)의 후손이다. 경사(舍)는 주(周)나라 현(顯)왕 때 초(楚)나라 사람이다.



[한국]



<泰仁경씨> 시조는 경차(磋)로 문하시중평장사를 지낸 사람 또는 경승명(承明)으로 進士를 지낸 사람이라고 한다.





28. 卿



[한국]



경함필(含弼)은 고려태조 5년(서기 922)에 원윤(元尹)을 지낸 사람이다.





29. 敬



[중국]



<平陽>



[한국]



<楊根경씨>, <安城경씨>, <저평경씨>, <巴川(陰城)경씨>, <天安경씨>, <豊歲(천안)경씨>, <長楊(淮:陽)경씨>, <翼谷(安邊)경씨>





30. 庚



[한국]



<仁川경씨>, <全州경씨>, <慶州경씨>, <平山경씨>





31. 耿



[중국]



<高陽>



[한국]



<沙川(楊州)경씨>, <楊根경씨>, <燕岐경씨>, <安峽경씨>





32. 桂



[중국]



계손(孫)은 노(魯)나라의 출신이다.



[한국]



<遂安계씨> 시조는 계석손(碩遜)으로 명(明)나라 예부시랑을 지낸 사람으로 우리나라에 귀화한 성씨이다. 계문비(文庇)는 고려 충렬왕 서기 1275-1309년 때 대장군을 지냈고, 계화(和)는 독립투사 출신이다.





33. 季



[중국]



<渤海> 계포(布)는 한(漢)나라 고조(高祖. 서기전 206-195)때 낭중(郎中)이라는 벼슬을 지낸 사람이다.



[한국]



<江華계씨>, <新平(洪州)계씨>





34. 溪



[한국]



<新溪계씨>





35. 啓



[중국]



계원(元)은 당(唐)나라 덕종(德宗. 서기 780-805) 때 또는 고려(高麗) 덕종(德宗. 서기 1031-1034) 때 군인(軍人) 출신이라고 한다.



[한국]



<咸陽계씨>





36. 高



[한국]



<濟州고씨> 시조는 을나(乙那)인데 단군조선 제 23대 우제(虞帝) 때인 서기전 1200년경 신도후로 봉해졌다고 한다. 고후(厚)는 고을나의 15세손으로 신라 때 성주(星主)를 지냈다. 고자견(自堅)은 고을나의 45세손으로 또한 성주를 지냈다. 고유(維)은 고자견의 손자(孫子)로 고을나의 46세손인데 중시조로 모신다. 고유는 문복야의 벼슬을 지냈다. 또 고말로(末老)라는 사람이 있는데 고려 때 신하(臣下)라고 한다.



[중국] 제(齊)나라 태공의 6세손인 문(文)공자 高孫笪이 있다. 연(燕)나라 왕 운복(雲復)의 성은 고씨이다. 한편 고개도(開道)에게 이(李)씨를 하사하였다 한다.





37. 顧



[중국]



<武陵>



[한국]



시조는 고준(俊)으로 고려 때 尙書를 지낸 인물이다.





38. 固



[한국]



<永同고씨>, <押海(나주)고씨>, <永興고씨>





39. 曲



[한국]



시조는 곡긍회(矜會)로 고려 태조 때 당나라에서 투화한 사람이다.





40. 谷



[중국]



<上谷> 상곡은 북경부근에 있는 지명으로 고구려때까지 한국과 중국의 쟁탈지이다.



[한국]



<瑞和(麟蹄)곡씨>





41. 骨



[중국]



골의(儀)라는 사람이 수(隋) 양제(煬帝) 때 살았는데 본래 천축(인도) 사람으로 장안에서 살았다고 한다.





42. 孔



[중국]



시조는 주(周)나라 공자(孔子. 서기전 551-479년)이다.



[한국]



<曲阜공씨> 시조 공소(紹)는 고려 충정왕(서기 1348-1351년) 때 평장사를 지냈는데 중국에서 귀화한 자로 공자의 고향인 곡부를 관향으로 하사받았다.





43. 公



[중국]



魯나라 왕족의 후손.



[한국]



도시조는 공윤보(允輔)로 18학사의 한사람인데 신라 경덕왕 14년(서기 755년)에 김포로 와서 망명귀화하였다.



<김포공씨> 시조 공순영(純永)으로 고려 때 장군이다.





44. 貢



[중국]



<廣平> 공후(後)



[한국] 미상이다.





45. 功



[한국]



시조는 공달(達)로 고려태조 4년(서기 921)에 견훤이 아찬 공달을 보내 공작선과 지리산 전죽을 헌상했다 한다.





46. 恭



[한국]



시조는 공문(文)으로 고려 현종 5년(서기1013경)에 김훈, 회질 등과 작당하여 난을 일으킨 인물이다.





47. 空



[중국]



공자의 후손이다.



[한국]



<金浦공씨>





48. 嚒



미상





49. 公孫



[중국]



<高陽>



* 황제헌원의 원래 성씨가 공손인데 뒤에 희(姬)로 바꾸었고, 헌원의 손자가 전욱고양(顚頊高陽)임. 헌원의 후손으로 보임.





50. 瓜



[한국]



<平康과씨>





51. 郭



[중국]



<太原> 주(周)나라 문왕(文王)의 동생인 곽숙(叔)이 있다.



[한국]



<玄風곽씨> 시조는 곽경(鏡)으로 송나라 사람인데 고려 인종(서기 1123-1146년) 때 귀화하여 문하시중평장사를 지냈다.



<淸州곽씨> 시조는 곽상(祥)으로 신라 헌강왕(서기 875-886년) 때 귀화하여 시중의 벼슬을 지냈다.





52. 囍



[중국]



<太原>



[한국]



<淸州곽씨>





53. 寬



[중국]



<河西具>





54. 官



[중국]



<東陽>



[한국]



시조는 관경(官景)으로 고려태조 11년(서기 928)에 명주(溟州) 소장(小將)으로서 왕(王)씨로 사성받았으며 大丞을 지냈다.





55. 光



[중국]



<絳郡>



[한국]



광참(參)은 고려 현종 6년(서기 1014)에 영주별장(寧州別將)으로 전사하였고, 광철(光轍)의 손자가 공을 세워 조선 태종으로부터 이름을 하사 받았다.





56. 廣



[중국]



<松陽>



[한국]



<瓮津광씨>





57. 槐



[한국]



<昌原괴씨>





58. 具



[중국]



진(晉)나라 대부 구병(丙)의 후손이다.



[한국]



<綾城구씨> 시조는 구재유(在裕)로 고려 때 벽상공신, 검교상장군을 지낸 인물이며 송(宋)나라 한림(翰林)학사 주잠(朱潛)의 사위이기도 하다. 귀화성씨이다.



<昌原구씨> 원래는 仇씨이며 이조 중엽에 공을 세워 사성받았다.





59. 丘



[중국]



<河南> 영구(營邱)에 봉해진 제(齊)나라 태공자의 후손이다.



[한국]



<平海구씨> 시조는 구대림(大林)으로 한(漢)나라 사람인데 일본으로 가다가 풍랑을 만나 평해에 표착하였다.





60. 邱



구(丘)씨 중에서 공자(孔子)의 이름(諱) 구(丘)를 피하여 邱로 고침.





61. 仇



[한국]



이조 중엽에 공울 세워 창원구씨(昌原具氏)가 되었다.





62. 堄



[중국]



<渤海>



* 발해는 한국과 중 사이에 있는 북쪽의 바다인데, 발해 유역은 원래 단군조선의 번조선 땅이었고, 그후 위만조선의 땅이 되었으며, 그후 백제. 고구려 땅이 되었다.



[한국]



<濟州구씨>





63. 菊



미상





64. 鞠



[한국]



<담양국씨> 시조는 국찬(樑)으로 송나라 사람인데 고려에 귀화하였다.





65. 國



[한국]



백제의 8대성의 하나로 <담양국씨>등이 있다.





66. 君



1960년도 국세조사 당시에 나타난 성씨이다.





67. 弓



<兎山궁씨> 시조는 궁제(濟)로 고려 숙종(서기 1095-1105년) 때 우문?(右門監)을 지낸 인물이다.





68. 宮



[한국]



<咸悅궁씨>, <慈山궁씨>





69. 塧(權과 億의 切音)



미상이다.



70. 權



[한국]



<安東권씨> 시조는 권행(幸)으로 원래 신라김씨이다. 고려태조가 사성하였다. 견훤이 경애왕을 죽이자 견훤과 전쟁하였다.



<王權집> 권행의 12대손 권담의 넷째 아들 재가 충선왕으로부터 왕씨성을 하사받아 생긴 말이다.



<醴泉권씨> 시조는 권지(遲)로 원래 흔(昕)씨인데 고려 충목왕(서기 1344-1348년)의 이름(諱)가 흔(昕)이므로 나라에서 외가 성씨인 권씨로 개성시켰다.





71. 歸



[중국]



<京兆>



[한국]



시조는 귀평(評)으로 고려태조 원년(서기 918)에 도항령(都航令)을 지낸 인물이다.





72. 圭



[한국]



시조는 규환(煥)으로 고려 태조 6년(서기 923)에 원윤(元尹)을 지낸 인물이다.





73. 克



[중국]



극황(黃)이란 사람은 주(周)나라 정(定)왕(서기전 607-586) 때 초(楚)나라 사람이다.



[한국]



극재사(再思)는 고구려 고주몽 때 사람으로 고주몽과 더불어 고구려를 창건하였다. 극재사가 지은 「삼일신고 독법」이 있다.



<永川극씨>





74. 斤



[한국]



<淸州근씨>





75. 琴



[한국]



<奉化금씨> 시조는 용식(容式)이다. 중시조는 의(儀)인데 고려 명종(서기 1171-1197년) 때 지공거시관(知貢擧試官)을 지냈는데 琴學士라 불리운다.





76. 兢



[한국]



긍俊(고려태조 10년(서기 927)에 運州奇城에서 견훤에게 승리)





77. 箕



[한국]



<幸州기씨> 箕子(서기전 1122년경 은나라 왕족으로 은, 주나라를 피하여 조선으로 동래하여 망명귀화)의 후손(단군조선의 번조선 제 70대 번한이 기자의 후손인 箕糐.인데 제 75대 번한이 기자의 41대손인 箕準이고 48대손에서 韓, 奇, 鮮于씨가 나왔다고 함.) * 契의 후손이므로 원래는 子씨임.





78. 奇



[한국]



<幸州기씨> 箕子의 후손으로 전해진다.





79. 起



[한국]



<漢陽(楊州)기씨>, <西原(淸州)기씨>, <沃川기씨>





80. 祈



[중국]



平陽에서 남. 기順(明나라 千戶郞)의 후손





81. 吉



[한국]



<海平길씨> 길再(야은. 고려말 3隱. 우왕 때 성균관박사.)





82. 金



[한국]



<金海김씨> 시조 김수로왕( 서기 42년 금관가야 건국) 김유신(12대손). 김해시 중심가에서 밀양으로 향하는 국도를 따라 10여분 거리에 가락국 시조의 전설을 담은 육란탄강지(六卵誕降地)인 구지봉(龜旨峰)은 김해시 구산동(龜山洞) 80-2에 위치해 있음.



<慶州김씨> 시조 김閼智(탈해왕 9년 서기 65년 봄 신라 경주에 출현)





83. 羅



[한국]



당태종 때 망명.



<羅州나씨> 시조 富(고려 때 귀화?)



<錦城나씨> 시조 聰禮(고려초 삼한공신. 大匡)





84. 那



[중국]



天水에서 남



[한국]



<幸州나씨>, <保寧나씨>, <堤川나씨>





85. 難



[한국]



백제인





86. 南



[시조]



남敏(원래 金忠. 당나라 사람으로 일본으로 가다가 풍랑을 만나 경북 영덕군에 표착하여 신라에 정착. 신라왕이 남쪽에서 왔다고 南을 성으로 하사)





87. 南宮



[한국]



<咸悅남궁씨> 시조 元淸(선조는 은나라 기자를 따라 동래하여 조선에 망명귀화)





88. 浪



[중국]



明나라 崇貞년 때 랑礎가 병부시랑으로 공을 세웠으나 간신배의 무고로 화를 입어 귀양을 가게 되어 너무 억울해서 아우와 함께 나무상자를 타고 바다를 건너와 우리나라로 망명. 처음 황해도 옹진에 정척하였고 나중에 충남 서천으로 이거)



[한국]



<楊州랑씨> 시조 랑忠正公





89. 乃



[한국]



<고려내씨> 고려 태조 왕건의 후예





90. 奈



[한국]



<羅州내씨>





91. 寗



[중국]



齊郡에서 남



[한국]



<樂安녕씨>





92. 盧



[한국]



도시조 노笰(당나라 한림학사. 9명의 아들을 데리고 신라로 귀화)



<交河노씨>, <光州>, <豊川> 등





93. 魯



[한국]



노晳(고려 공민왕 서기 1351-1374년 때 정윤)



<咸平>, <江華>





94. 路



[중국]



출신지는 內黃. 皇帝가 후손을 路의 땅에 봉하여 성이 됨.



[한국]



<太原(忠州)>, <北靑> 등





95. 濃



[한국]



농額必(조선 현종 임인년에 표류하여 온 義州 사람)





96. 雷



[한국]



<喬桐뢰씨>





97. 賴



미상





98. 婱



[한국]



고려 사람





99. 能



[중국]



太原에서 남



[한국]



능寔(고려 개국 공신)





100. 段



[한국]



<延安단씨> 시조 단由仁(이조 때 현감) * 단楊爾(백제 오경박사)가 있음.





101. 端



[한국]



韓山단씨





102. 唐



[한국]



<密陽당씨> 시조 誠(元나라 말기에 고려에 귀화)





103. 大



[한국]



대진국(발해) 개국시조 대祚榮의 후예. * 大光顯은 고려태조 때 투항하여 왕씨성을 하사받음.



<大山(金海)대씨>





104. 對



[한국]



<濟州대씨>





105. 戴



[중국]



痳國에서 남



[한국]



<寧海대씨> 시조 대翼(고려 현종 4년(서기 1012)에 송나라에서 귀화하여 儒林郞 벼슬 지냄)





106. 德



[중국]



河南에서 남



[한국]



덕述(고려 태조 19년(서기 936)에 견훤의 좌장군으로 고려에 투항)



<淸州>, <楡谷(남원)>, <順天>, <別良(순천)>, <竹靑(순천)>, <慶州>, <兵陽(진주)>, <밀양덕씨>





107. 都



[한국]



星州도씨시조 順(선조인 도陳은 고려태조 때 성산부원군. 성주배씨, 성주이씨와 더불어 성주고을 양반이라 불리움) * 삼국사기에 都彌가 있는데 개루왕이 그 아내를 유혹하려다 실패하여 두눈을 도려내고 배에 태워 추방했는데 고구려에 가서 걸식하다가 뒤쫓아 온 아내와 다시 만남.





108. 道



[중국]



汝陰에서 남



[한국]



<丘墟(固城)도씨>. 道詵





109. 陶



[중국]



도靑(漢나라 宰相)



[한국]



<豊壤도씨>





110. 刀



[한국]



도洪祚(고려 때 唐津監務)





111. 獨



[한국]



丹城독씨





112. 獨孤



[한국]



<南原독고씨> 시조 獨孤公舜(신라 말 당나라에서 8학사의 한사람으로 귀화했다 함)





113. 頓



[한국]



<木川돈씨> 고려 태조 때 백제 유민들에게 지어준 성인 豚씨에서 회복





114. 豚



[한국]



<木川돈씨>





115. 敦



[한국]



淸州돈씨





116. 突



미상





117. 董



[중국]



劉累의 후손 또는 舜임금이 사성하였다 함.



[한국]



시조 동承宣(고려말에 명나라에서 귀화).



<광천동씨>





118. 童



[중국]



雁門에서 남



[한국]



<太原(충주)>, <淸州>, <全州>, <原州>, <酒泉(원주)>, <富寧>, <德川동씨>





119. 仝



[한국]



<市津(思津)동씨>





120. 東



[한국]



<淸州동씨>





121. 東方



[한국]



<晉州동방씨> 태호복희의 후손. 한무제(漢武帝) 때 사람인 동방삭이 유명하다.





122. 杜



[한국]



<杜陵두씨> 시조 慶寧(송나라에서 고려로 귀화). 중시조 두景升(고려 명종 서기 1171-1197년 때 중서령. 최충헌의 폐왕음모에 항거하다 유배당함)





123. 登



[한국]



<固城등씨> 당나라에서 귀화





124. 絡



미상





125. 浪



[중국]



楊州에서 남



[한국]



<晉州랑씨>





126. 良



[한국]



량文(고려 태조 원년에 조카 규환을 보내어 고려에 투항)



<彩雲(恩律)>, <濟州량씨>





127. 凉



[한국]



<鴻山량씨>





128. 來



[중국]



平陽에서 남



[한국]



<豊川래씨>





129. 여( )



[한국]



백제 8대성의 하나임





130. 力



[한국]



<河陰(江華)력씨>





131. 列



[한국]



열評(고려 태조 원년에 廣評侍郞)





132. 令



[중국]



령免(漢나라 文帝(서기전 180-157) 때)



[한국]



령式(고려 태조 19년(서기 936)에 견훤의 장군으로서 사로잡힘)





133. 靈



[중국]



河南에서 남





134. 令狐



[중국]



太原



[한국]



<文化령호씨>





135. 禮



[한국]



고주몽의 첫 부인인 예씨는 서기전 60경 고구려 제 2대 유리왕을 낳음.





136. 蘆



[한국]



<廣州>, <忠州>, <慶州>, <尙州로씨>





137. 綠



[중국]



扶餘에서 남



[한국]



<慶山록씨>





138. 六



[중국]



盧江에서 남



[한국]



<昌寧육씨>





139. 律



[한국]



<槐山률씨>





140. 離



[중국]



平昌에서 남



[한국]



리思義(조선 초에 同福縣監)





141. 里



[중국]



당나라 때 나타남.





142. 馬



[중국]



원래 櫕씨로 伯益의 후손



[한국]



<木川마씨> 시조 마占中. 마謙(마한 때). 마黎(온조왕의 左輔. 馬斯良縣이 고려 때 會寧으로 이조 태조 때 장흥으로 고침)



<장흥마씨> 시조 마赫仁(목천의 분파.) * 동국여지승람에 고려태조가 후백제의 반란민에게 성을 준 것이라 하나 마씨세보에는 신라 경순왕이 하사한 것이라고 함.





143. 麻



[한국]



영평마씨시조 麻糲(고려개국 2등공신)





144. 萬



[한국]



시조 萬世德(임진왜란 때 명나라 經理使)



<開城>, <江華>



* 萬世(신라 진평왕 때), 萬宗(신라 경덕왕 때), 萬歲(고려 태조 때 大匡), 萬積(고려 신종 서기 1198-1204년 때 최충헌의 私奴)





145. 漫



[한국]



만豆(여진사람으로 고려 문종 35년(서기 1081)에 귀화하여 山南縣에서 살음)





146. 梅



[한국]



<忠州매씨> 매漢孫(이조 중종 때 아버지 병환에 손가락을 수혈한 효자)





147. 孟



[한국]



<新昌맹씨> 思誠(古佛. 최영장군의 손녀사위. 공당問答)





148. 恊



[한국]



<진천며씨>





149. 明



[한국]



<西蜀명씨> 시조 명玉珍(元나라 말기에 蜀땅을 근거로 夏나라를 건국한 왕. 명나라 태조에게 멸망하고 고려로 망명)





150. 毛



[중국]



周나라 文王이 아들을 毛에 봉함(조선씨족통보).



[한국]



<公山>, <瑞山>, <廣州(중국)>



* 삼국사기, 삼국유사 : 모尺(신라의 대야성을 함락시킨 백제장군), 모治(고구려 보장왕 시의), 모體(신라 눌지왕 때 고구려의 묵호자를 숨겨준 사람), 모肖(신라 원성왕 때 사람).





151. 牟



[한국]



<咸平모씨> 시조 모慶(중국 관서사람으로 고려 인종 때 모평군에 봉해짐)





152. 睦



[한국]



<사천목씨>





153. 木



[중국]



吳興에서 남



[한국]



백제 8대성의 하나





154. 蒙



[한국]



<奉化>, <兎山몽씨>





155. 墨



<遼東묵씨> 묵子(춘추전국시대 본명은 묵적. 사회겸애설)





156. 文



[한국]



<南平문씨> 시조 문多省(신라 제 20대 자비왕 때 전라도 남평郡主가 사성명)펼



<甘泉문씨> 시조 문元吉(원래 경주 김씨. 중국에서 문장가로 문씨로 사성받음)



<旌善문씨> 시조 文林幹(원래 전씨. 중국에서 문장가로 이름을 날려 문씨로 사성받음. 문하시랑평장사)





157. 門



[중국] 출산지는 河內





158. 物



[한국]



<槐山물씨>





159. 米



[한국]



<載寧미씨>





160. 彌



[중국] 新豊에서 남





161. 閔



[중국]



子맥(공자의 제자)의 후손



[한국]



<驪興민씨> 시조 민稱道(중국에서 귀화 또는 閔姓穴 전설)





162. 朴



[한국]



시조 박혁거세.



* 박달(檀)의 박 즉 밝은 땅의 밝을 이두로 표기한 것임. 박혁거세의 아버지는 북부여왕 해부루를 동부여후로 삼고 졸본에서 북부여를 이은 동명왕 고두막한의 사위로 추정됨. 東明(이두로 읽으면 동쪽을 새라 읽고 밝을 명이므로 새밝인데 새벌, 설벌, 서라벌, 새라, 사로 등을 가르키는 말임. 東京(지금의 경주)과 같은 말임)을 신라(이두로 읽으면 새라임)의 옛땅이라 함.





163. 潘



반阜(고려 충렬왕 때 司議大夫, 通和使節, 巨濟府院君)





164. 班



[중국]



焑頊高陽의 후손



[한국]



<開城>, <固城>, <平海반씨>





165. 方



[한국]



<溫陽방씨> 도시조 방智(당나라 한림학사. 신라 문무왕 때 문화사절로 신라에 와서 결혼하고 귀화. 설총과 교류), 시조 방雲(고려 태조 때 전공을 세우고 광종 때 溫水君에 봉해짐)





166. 房



[중국]



요임금의 아들인 丹朱의 후손



[한국]



<남양방씨> 시조 방孝弘(당나라에서 고려에 귀화. 삼한벽상공신)





167. 龐



[중국]



周나라 현왕 때 방涓 . 漢나라 광무제 때 방萌.



[한국]



<開城방씨>





168. 邦



[한국]



<廣州>, <岐州>, <坡州방씨>





169. 芳



[중국]



新豊에서 남



[한국]



<聞慶>, <虎溪(문경)>, <鐵原>, <伊川>, <安峽>, <翼谷(安邊)방씨>





170. 裵



[한국]



도시조는 신라 육촌인 금산가리촌인 가리부 즉 한지부의 촌장.



<경주배씨> 시조 배玄慶(원래 이름은 白玉 또는 白玉衫. 고려태조가 사성)





171. 白



[중국]



백字經(松溪公. 당나라 蘇州사람. 신라 제 37대 신덕왕 때 귀화. 大相)



[한국]



<水原백씨> 시조 백揮(水原君. 백자경의 증손)





172. 柏



[중국]



魏郡에서 남



[한국]



<抱川백씨>





173. 扚



[한국]



백제 8대성의 하나





174. 藩



미상





175. 凡



[한국]



<安州범씨> 시조 범永當. 고려 우왕 때 사람이다.





176. 范



[한국]



범세동(고려 공민왕 때 德寧府尹, 諫議大夫, 東方淵源錄 저술)





177. 泛



[한국]



<伏龍(나주)범씨>





178. 汎



미상





179. 邊



[한국]



<黃州(해주)변씨> 시조 변呂(선조는 원래 송, 원나라 사람으로 龍西지방에서 송이 망하자 고려 황해도에 정착 귀화)



<原州변씨> 시조 변順(변려의 후손으로 원나라에서 벼슬하고 손자 변安烈이 원의 兵部尙書를 지내고 공민왕 때 노국대장공주를 따라 와 원주를 봉작받음.)





180. 卞



[한국]



도시조 변庭實(고려 때 문하시중 文烈公).



<草溪변씨> 초계의 옛 이름은 팔계(八溪).



<密陽변씨> 高迪(國子進士). 초계변씨에서 분가.





181. 別



[중국]



京兆에서 남



[한국]



<平昌별씨>





182. 뼘(吉刀合字)



[한국]



<密陽뼘씨>





183. 甫



[중국]



염제(신농국)후손이 甫因邑에 봉해짐



[한국]



<公州>, <洪州보씨>





184. 卜



[한국]



시조 복智謙(고려 개국공신)





185. 奉



[한국]



<하음(江華)봉씨> 시조 봉喺(고려 인종 때)





186. 鳳



[한국]



<慶州봉씨>





187. 傅



[중국]



淸河에서 남



[한국]



<楊根부씨>





188. 斧



[한국]



<豊角(밀양)부씨>





189. 部



[한국]



<豊川부씨>





190. 附



[한국]



<童城(通津)부씨>





191. 扶餘



[한국]



시조 부여隆(唐高祖 때 帶方왕. 백제 의자왕의 아들로 백제가 망하면서 당나라가 徐를 성씨로 주었음. 백제왕의 성씨는 부여씨 또는 해씨이므로 부여씨의 시조는 온조왕임. 부여융은 부여서씨의 시조임.).





192. 夫



[한국]



<濟州부씨> 시조 부乙那.





193. 北



[중국]



玄砵에서 남





194. 卑



미상





195. 氷



[한국]



중국에서 귀화. 谷城빙씨





196. 賓



[한국]



<達城빈씨> 시조 빈干光(송나라 한림학사. 원나라에 망하자 서적 17,000권을 가지고 고려에 귀화. 충숙왕이 壽城君에 봉함)





197. 彬



[한국]



<大邱빈씨> 시조 빈文(청나라 덕종 때 員外朗). 潭陽빈씨





198. 史



[중국]



출산지는 京北. 周나라 사질의 후손



[한국]



<거창사씨> 시조 사縣(명나라 예부상서. 명태조 홍무 때 蜀主 明玉珍과 같이 고려에 귀화). 사榮(고려 예종 서기 1106-1122년 때 吏部上書)이 있었음.





199. 謝



귀화성씨?





200. 思



[중국]



출산지는 楚. 사柄(明나라 헌종 때 宣慰使)



[한국]





201. 沙



[중국]



汝南에서 남



[한국]



백제 8대성의 하나. 사若思(백제 동성왕 6년(서기 479-501) 내법좌평으로 齊나라에 조공)





202. 舍



[한국]



<富平>, <泰安>, <活川(?)사씨>





203. 司空



[한국]



<孝靈사공씨> 시조 사공圖(唐나라 8학사의 한사람으로 신라말에 귀화. 최치원과 교류)





204. 司馬



[중국]



출산지는 河內.





205. 산



[중국]



하남에서 남



[한국]



산두두(고려 문종 35년(서기 1081)에 懷化將軍)





206. 森





207. 尙



[중국]



출산지는 상당. 周文王의 스승인 尙父(姜太公 呂尙)의 후예





208. 常



[중국]



平原에서 남



[한국]



상素銀(조선 영조 정해년(서기 1767)에 표류해 옴)





209. 相



[한국]



상貴(고려 태조 17년(서기 934)). 밀양상씨





210. 桑



[중국]



藜陽에서 남



[한국]



<安邊상씨>





211. 象



[한국]



<木川상씨>





212. 嘗



[한국]



<高陽상씨>





213. 雙



[중국]



天水에서 남



[한국]



쌍冀(고려 광종(서기 949-975) 때 後周에서 귀화. 한림학사)





214. 索



[중국]



武威에서 남



[한국]



색湘(고려 태조 10년(서기 927)에 전사)





215. 徐



[중국]



출산지는 東海(산동, 발해만 지역?). 伯益(夏나라 초기. 서기전 2220경)의 후손. 周나라 穆왕 때 徐偃王(동이족이라 함)이 있었음.



[한국]



<利川서씨> 시조 서神逸(신라 阿干. 箕子의 40대손 箕準의 7대손인 萬周가 신라 文聖王으로부터 사성받아 이름을 神逸로 고침. 기준이 위만에게 쫓겨 이천 땅 徐阿城에 자리잡아 장자계통은 徐씨가 되고 차자계통은 청주한씨가 됨.



<扶餘서씨> 시조 隆(백제 의자왕의 아들로 당나라가 부여씨를 고쳐 서씨로 되었음)





216. 西



[한국]



1930년대 국세조사 때 출현.





217. 西門



[한국]



<安陰서문씨> 시조 담(고려 공민왕 때 元나라 노국공주를 따라 와 귀화)





218. 書



[중국]



安平에서 남





219. 石



[한국]



<忠州석씨> 시조 석隣(고려 명종 때 兵馬使. 鄭仲夫의 난에 가담. 趙位寵의 안 평정)





220. 昔



시조 신라 석탈해왕.





221. 碩





222. 石抹



[중국]



宜(元나라 때)





223. 釋



[인도]



天竺에서 남



[한국]



<水原>, <光山(光州)>, <南原>, <益山>, <靈光>, <慶州>, <晉州>, <金海석씨>





224. 鮮



[중국]



출산지는 南安. 선儷(宋나라 신종 때 집현전 수찬)





225. 宣



<보성선씨> 시조 선允祉(明나라 태조 때 사신으로 고려에 귀화)





226. 單



[연안선씨] 시조미고





227. 鮮于



[한국]



太原선우씨(箕子의 48대손 友諒, 友親(友誠이라고도 함), 友平이 각 韓, 奇, 선우씨의 원조가 됨.





228. 善



[중국]



河東에서 남



[한국]



선弼(고려 태조 13년(서기 930)에 大岩장군으로 내항하자 연로하므로 尙보(父)로 칭함)





229. 先



[한국]



<晉城선씨>





230. 晷



[중국]



河東에서 남



[한국]



섭性(고려 충렬왕(서기 1275-1309) 때 보좌공신이었던 섭周錫의 후손)





231. 薛



[한국]



시조 虎珍公(신라 6촌의 하나인 高耶村長). 원효대사, 설총(신라 신문왕 때 翰林학사)





232. 楔





233. 显



[중국]



回骨(위구르)사람. 설輦河에 살아 성씨가 됨. 堯임금 때 司徒인 殷(契을 가르키는 것으로 보임)의 선조라 함(宇典)



[한국]



<慶州설씨> 시조 文質(元나라 순제 때 홍건적의 난을 피해 고려 공민왕 때 귀화한 태사 遜의 祖父)





234. 葉



[한국]



<公村(수원)섭씨> 시조 섭居焁(고려 현종 3년 1012년 송나라에서 귀화)





235. 成



[한국]



<昌寧성씨> 시조 성仁輔. 路上派 公弼, 路下派 漢弼.





236. 蘇



[한국]



<晉州소씨> 시조 소繼笭(알천공이라 함. 박혁거세를 신라왕으로 추대한 소벌도리의 후손임. 소벌도리는 한반도 진한의 건국자인 소백림의 후손).





237. 邵



[한국]



<平山소씨> 시조 소光賓(고려 제 19대 명종 때 경상도 안찰사)





238. 肖



본래 趙씨로 走를 빼어 성을 고침





239. 素



[한국]



<廣州>, <豊德소씨>





240. 逍



[한국]



<廣州>, <豊德소씨>





241. 召



[한국]



<大同소씨>





242. 孫



[한국]



시조 俱禮馬(신라 6촌의 하나인 大樹村)



<慶州손씨> 시조 손順(신라 흥덕왕 때 효자, 삼국유사에 기록)



<安東손씨> 시조 荀凝(원래 荀씨. 고려 제 8대 현종의 이름이 荀이므로 孫씨로 성을 삼은 것임.)





243. 宋



[한국]



도시조 송桂殷(당나라 戶部尙書. 귀화). 礪山, 恩津, 鎭川송씨





244. 松



[중국]



東莞에서 남



[한국]



송讓(비류국왕. 고구려 고주몽에게 항복하여 다물주로 봉해짐. 유리왕의 부인이 송양의 딸인데 송으로 성을 삼음)





245. 쇼(石牛合字)



[한국]



<星州쇼씨> 지봉유설에 실려 있음.





246. 水



[한국]



<江陵수씨>. <江南수씨>





247. 洙





248. 守



[중국]



西河에서 남



[한국]



수椎(고려 현종 7년(서기 1010-1031) 때 전공을 세움)





<開城>, <廣州>, <慶州수씨>





249. 隨



[중국]



河南에서 남. 수何(楚漢 때 사람)의 후손



[한국]



수晤(고려 태조초에 견훤의 장수로 패사)





250. 壽



[중국]



京兆에서 남



[한국]



<文登(淮陽)수씨>





251. 叔



미상





252. 荀



<鴻山순씨> 시조 순慶震. 안동손씨는 원래 荀씨임.





253. 舜



[중국]



출산지는 河東.



[한국]



귀화성씨.



<坡州>, <林川순씨>





254. 順



[한국]



1960년 국세조사 때 출현.





255. 承



[한국]



승愷(고려 정종 서기 1035-1046년 때 대장군)





256. 昇



[한국]



시조 明昇(고려 공민왕 때 망명. 명을 떼고 昇으로 성을 삼음. 夏나라 蜀王인 明씨의 씨족)





257. 僧



[한국]



승牛本(고려 고종(서기 1214-1260) 때 都頒令史)



<淸州>, <慶州>, <密陽>, <咸安>, <靈山승씨>





258. 乘



[한국]



승里仁(고려 현종(서기 1010-1031) 때 郭州 行營 修判官으로 전사함)



<長興승씨>





259. 勝



[한국]



<富潤(萬頃)>, <延日승씨>





260. 柴



[중국]



출산지는 平陽. 제곡고신씨의 후손이라고 함.



[한국]



시臣雲(고려 제 8대 현종 때 興化鎭頭)



<泰仁>, <金化시씨>





261. 施



[한국]



<星州시씨> 시조 시文用(임진왜란 때 明나라 장수로 전공세우고 병으로 귀국하지 못하고 성주에 정착)





262. 時



[중국]



幐西에서 남. 成湯(은나라 개국시조. 서기전 1766경)의 후손



[한국]



<長豊(延豊)시씨>





263. 시(戶水合字)



[한국]



<荒調(古阜)시씨>





264. 申



[한국]



<平山신씨> 시조 신崇謙(고려 개국공신. 壯節公)





265. 辛



[한국]



도시조 신鏡(고려 고종 서기 1214-1260년 때 문하시랑평장사)



<靈山>, <寧越신씨>





266. 愼



[한국]



<居昌신씨> 시조 신熵(연산군의 장인인 신承善의 선조. 宋나라 개봉부 사람으로 고려 문종 서기 1047-1083년 때 귀화)





267. 莘



[중국]



天水에서 남



[한국]



<豊德신씨>





268. 新



[중국]



河內에서 남



[한국]



신德(고려 태조 18년(서기 935)에 견훤의 波珍粲)





269. 神



미상





270. 信



[중국]



魏郡에서 남



[한국]



<文登(淮陽)신씨>





271. 實



[한국]



<泰安실씨>





272. 沈



[한국]



<靑松심씨> 시조 심洪受(고려 때 衛尉侍丞)





273. 尋



[한국]



<開寧심씨>





274. 阿



[한국]



아非知(황룡사 9층탑 건축). 아直岐(백제 근초고왕 서기 346-375 때 일본에 漢學 전수)





275. 牙



[한국]



아應時(고려 명종(서기 1171-1197) 때 中郞將)





276. 岳



[중국]



江陽에서 남



[한국]



악順才(조선 영조 계축년(서기 1733)에 표류. 인천)





277. 安



[한국]



도시조 안瑗(원래 唐나라 사람으로 李씨. 신라 애장왕 서기 800-809년 때 귀화하여 왜구를 무찌른 공으로 사성받음)





278. 晏



[중국]



齊國에서 남. 안留(고구려 고국천왕(서기 179-197) 때 사신으로 옴)





279. 仰



[중국]



汝南에서 남



[한국]



延日앙씨





280. 艾



[중국]



天水에서 남



[한국]



<漢陽>, <延豊>, <長延(연풍)>, <全州>, <榮州>, <鐵原애씨>





281. 哀



[한국]



애宣(고려 태조 7년(서기924)에 전사)





282. 夜



[한국]



시조 야先朝(고려 충렬왕 29년 서기 1303년 大護軍으로 원나라에 聖節使로 감)





283. 也



미상





284. 梁



[한국]



<濟州양씨> 시조 양乙那. 濟梁, 陸梁. 신라 태종무열왕 때 광순사 벼슬. 사성받아 良이 梁으로 바뀜.



<南原양씨> 시조 양 白瀛(南原君)





285. 楊



시조 양起(元나라 세조 딸인 충렬왕비를 따라 와 대광숭록대부가 되고 上黨伯(청주)에 봉해짐). * 양만춘(고구려 장수)





286. 陽



[중국]



藍田에서 남



[한국]



<金海>, <金化>, <霜陰(안변)>, <波川(안변)양씨>





287. 揚



[중국]



天水에서 남



[한국]



<長命(長連)양씨>





288. 魚



[한국]



咸從어씨 시조 어化仁(南宋 멸망 때 귀화)





289. 御



[한국]



어室忠(고려 문종 10년(서기 1056)에 시를 지어 필육을 하사받은 수재)





290. 於



[중국]



京兆嚴商椽呂后. 어斯昌(明 唐왕 때 黃岡人主事)



[한국]



<강릉어씨> 시조 麟世(知義州事)





291. 彦



[만주]



언愷(청나라 덕종(서기 1874-1908) 때)



[한국]



언守考(고려 태조 12년(서기 929)에 원윤으로서 安定鎭을 다스림)





292. 嚴



[한국]



寧越엄씨 시조 엄林義(唐나라 사람으로 고려에 귀화. 戶部員外朗)





293. 余



[한국]



의령여씨 시조 여善才(宋나라에서 귀화)





294. 汝



1930년대 국세조사 때 중국에서 들어온 것으로 보임.





295. 餘



[중국]



여善東(漢武帝 때)



[한국]



백제왕(중국기록에 처음에는 餘씨로 기록하다가 나중에 扶餘씨로 기록)





296. 呂



[한국]



唐나라 黃巢의 난을 피해 귀화.



<咸陽여씨> 시조 여御梅. 星州여씨.





297. 延



[한국]



<谷山연씨> 시조 연壽葛(元나라에서 귀화)





298. 連



[한국]



<全州(羅州)연씨> 시조 연珠(고려 태조 때 2등공신).



* 연珍(신라 장군. 이벌찬)이 있음.





299. 燕



[한국]



<定平연씨> 백제 8대성의 하나





300. 淵



[한국]



미상



* 연太祚(고구려 막리지. 연개소문의 아버지), 연子遊(연개소문의 할아버지. 막리지), 연廣(연개소문의 증조. 막리지)등이 있음.





301. 廉



[한국]



<坡州(瑞原)염씨> 중시조 염漢(고려 제 11대 문종 서기 1047-1083 때 兵部尙書)





302. 閻



[중국]



太原에서 남



[한국]



염長(고려 태조 원년(서기 918)에 義刑台令)





303. 濂(렴)



[한국]



1930년 국세조사 때 출현. 중국성씨인 濂 또는 廉씨의 오기로 보임.





304. 永



[한국]



<平海>, <康翎영씨>





305. 泳



<경주영씨> 시조 如鏡(세조 때 경주부원군)





306. 榮



[중국]



上谷에서 남



[한국]



<永平>, <永川영씨>





307. 英



[중국]



晉陵에서 남



[한국]



英俊(고려 태조 원년(서기 918)에 兵部卿)





308. 芮



[한국]



<의흥예씨> 시조 樂全(고려 인종 서기 1123-1146 때 門下贊成事)





309. 乂



[한국]



예봉(고려 태조 19년(서기 936)에 사로잡힌 견훤의 장군)





310. 倪



[중국]



千乘에서 남



[한국]



예言(고려 태조 원년(서기 918)에 內奉理決)





311. 吳



[한국]



도시조 오첨(瞻)(신라 제 22대 지증왕 때 중국에서 들어 왔다가 쫓겨 갔고 둘째 아들이 咸陽에 정착. 12대손 오光佑가 중국으로 건너 갔다가 다시 현손 오延寵이 고려 문종 때 건너와 정착. 25대손 오守權의 3아들이 海州, 同福, 寶城에 봉군됨)



<해주오씨> 시조 오仁裕(고려 초기 군기감)



<함양오씨> 시조 오光揮(고려 명종 때 함양부원군. 상서좌복야)





312. 伍



오參(周 定玉왕 때. 楚公의 후손)





313. 吾



[중국]



挓陽에서 남



[한국]



<固城오씨>





314. 午



[한국]



<밀양오씨>





315. 玉



[한국]



<宜寧옥씨> 시조 옥眞瑞(唐나라에서 귀화)





316. 溫



[한국]



도시조 온師.



* 溫達장군(고구려 평강공주 남편. 後周 武帝의 침입 격퇴. 大兄)





317. 邕



[한국]



<淳昌옹씨> 시조 옹夢辰(이조 명종 8년에 문과. 判官)



<宜寧옹씨>





318. 雍



[한국]



<파주옹씨>



* 邕씨의 오기로 밝혀짐.





319. 翁



[중국]



鹽官에서 남. 周 昭王(서기전 1053-1002)의 서자의 후손



[한국]



<金浦>, <開寧옹씨>





320. 王



[한국]



<開城왕씨> 시조 王建(고려 태조).



<江陵왕씨> 시조 왕裕(왕건의 아들)



<海州왕씨> 시조 왕儒(원래 박씨)



* 서기전 3897년 한웅천왕의 배달 신시 개천시에 우사 王錦營이 있고, 황제헌원의 17세손인 祖明이 동래하여 평양의 一土山에 정착하여 그 후손에 왕수긍이 은나라 말기 때 箕子의 士師가 되었다고 하는데, 그 후손에 吏頭法과 符隸를 만든 王文이 있으며, 왕수긍의 약 71대손이 되는 琳이 田, 申, 車시로 개성하고 이름을 無一로 고쳤는데, 셋째 아들인 王式時의 후손이 왕건이라고 함. 이승휴의 제왕운기에서는 왕건을 당숙종의 증손자라고 적고 있음(당나라 숙종의 후손이라면 왕건은 陳外家의 성씨를 따른 것이 됨).





321. 왹(門鳥合字)



미상





322. 姚



[한국]



요인휘(고려 태조 때 물장경). 明나라 사람 후손이라고도 함.



* 순임금의 성이기도 함.





323. 要



[한국]



<대구요씨>





324. 堯



[중국]



上黨에서 남





325. 龍



[한국]



<홍천용씨> 시조 용得義(고려 때 領相)





326. 禹



[한국]



<丹陽우씨> 시조 우玄.



<木川우씨> 왕건이 백제 유민이 사는 목천지방에 牛씨를 주었는데 뒤에 于, 禹로 개성했다고도 전함





327. 于



[한국]



시조 우邦寧(고려 인종 때 尙書左僕射)





328. 羽



[한국]



<고려우씨>가 高씨가 됨. 고구려본기 유리왕 24년 사성. 거란(遼나라. 고구려를 이은 대진국을 이은 나라임)의 張浩는 본성이 高씨로 동명왕 고주몽의 후손임.





329. 牛



[중국]



幐西에서 남



[한국]



<木川>, <禮安우씨>





330. 祐



[한국]



童城(通津), 載陽(南陽), 長豊(延豊)우씨





331. 遇



[한국]



<星州우씨>





332. 芋



[중국]



季連(楚나라)의 후손





333. 郁



[중국]



黎陽에서 남



[한국]



<濟州욱씨>





334. 雲



[한국]



1840년대경 강화도에서 푸른하늘의 흰구름을 보고 성을 삼음.





335. 芸



[한국]



<全州운씨>





336. 元



[한국]



<原州원씨> 시조 원克獻(고려 삼한공신)





337. 袁



[한국]



比安원씨 시조 원賚輔(중국 秦 公子 원塗濤의 후손. 車를 떼고 袁을 성으로 삼음)





338. 原



[중국]



원憲(周 敬王(서기전 519-476) 때 공자의 제자). 원傑(明나라 憲宗 때 侍郞)



[한국]



<祥原원씨>





339. 員



[한국]



<德水(豊德)원씨>





340. 柳



[한국]



시조 유車達(고려 태조 때 大丞. 翊贊壁上公臣. 6대 조상은 원래 車씨. 長子는 車씨, 次子는 柳씨. 이름을 차달로 하사받음.)



* 원래 王씨인데 왕琳(車無一)이 田, 申, 車씨로 개성)





341. 劉



[한국]



<江陵유씨> 시조 유 筌(신라말 고려초 중국 兵部尙書. 漢고조 유邦의 40대손. 唐이 망하자 고려로 망명)





342. 兪



[한국]



<杞溪유씨> 시조 유三宰(신라 때)





343. 庾



<平山유씨> 시조 유검필(黔弼)(고려 태조 때 征西대장군, 征南대장군, 都統大將軍 역임. 忠節公.).



<茂松유씨> 평산유씨의 분파. 평산은 황해도 평주(平州).





344. 有



[중국]



東海에서 남



[한국]



유文(고려 태조 11년(서기 928)에 견훤과 함께 항복한 장군)





345. 陸



[한국]



<沃川육씨> 시조 육普(신라 경순왕 부마. 管城君. 당나라 명종 때 문학전례선교사로 신라에 옴)





346. 尹



[한국]



坡平윤씨 시조 윤檏達(신라 진성여왕 때 尹殗 할머니의 姓을 딴 것임. 고려 인종 때 侍中을 지냈다 함)





347. 閏



윤雄(고려 태조 4년(서기 921)에 당나라 장군으로 항복해 옴)





348. 魏



[한국]



長興위씨 시조 위鏡. 위弘(신라 진성여왕 때 향가집 三代目 편찬)





349. 韋



[한국]



<江華위씨> 시조 위 壽餘(고려 초 宰相. 광종 때부터 목종 때 문하시랑평장사. 현종 때 문하시중)





350. 位



[한국]



위沙勿(고구려 유리왕 21년(서기 3)에 사물驛에서 한 장부가 신하되기를 청하여 賜성명함)



<通津위씨>





351. 殷



[한국]



<幸州은씨> 시조 은洪悅(신라 太子太師. 寶文閣大提學)





352. 隱



[중국]



北海에서 남



[한국]



은繼宗(고려 태조 11년(서기 928)에 발해인으로서 귀화함)





353. 乙



[한국]



을普勒(삼랑. 단군조선 제 3대 가륵단군때인 서기전 2181년 때 정음 38자 지음). 을巴素(고구려 고국천왕(서기 179-197) 때 국상)





354. 陰





355. 李



[한국]



<公州이씨> 시조 이天一(신라 박혁거세 때. 漢나라 先帝 감로원년 漢나라에 가서 大將軍으로 흉노를 정벌하고 遼東伯이 되었고 신라로 되돌아와 公山君에 봉해짐)



<慶州이씨> 시조 이謁平(신라 6촌 閼川楊山村長. 瓢岩公) 중시조 居明(蘇判公. 신라 진골)



<廣州이씨> 조 이自成(신라 내물왕 때 內使令)



<全州이씨> 시조 이翰(신라 司空)



<仁川이씨> 시조 이許謙(김수로왕 후손. 고려 현종 때 상서좌복야)



<光州이씨> 시조 이珣白(고려 한림학사)



<靑海이씨> 시조 이之蘭(이조 개국공신. 퉁두란)



<韓山이씨> 시조 이允鄕(고려 戶長) 중시조 이穀(목은 이穡의 아버지)



<固城이씨> 시조 이璜(漢나라 文帝 때 사람인 李槃의 24대손)





356. 異



[중국]



이牟尋(唐나라 덕종 때 雲南王)



[한국]



<密陽이씨>





357. 伊



[중국]



이尹(商(은)나라 탕왕 때)



[한국]



<太原>, <銀川이씨>





358. 弛



미상





359. 益



[중국]



馮翊에서 남



[한국]



<杞溪(慶州)익씨>





360. 翌



[한국]



陰竹익씨





361. 印



[한국]



<喬同인씨> 시조 인瑞(陳나라 때 신라에 들어와 교동伯이 됨)



<延安인씨> 시조 인候(元나라에서 고려 충렬왕 때 들어와 平陽君에 봉해짐)





362. 仁



[중국]



彭城에서 남



[한국]



인點(고려 숙종 9년(서기 1103)에 大相)





363. 日



[한국]



旌善일씨





364. 一



미상





365. 任



[한국]



<豊川임씨> 시조 임溫(고려 충렬왕 때 元나라에서 5대손 임주(澍)가 귀화).



<長興임씨> 시조 임懿(고려 숙종 때 문하시랑평장사)





366. 林



[중국]



殷나라 紂왕의 폭정으로 삼촌인 比干의 아들 堅이 子씨에서 林씨로 개성.



[한국]



임八及(唐나라 말기 한림학사로 망명귀화하여 평택에 정착)





367. 慈



[한국]



<海川>, <中原자씨>





368. 玆



미상





369. 潣



[한국]



<永興자씨>





370. 蠶



蠶叢氏





371. 雜



[한국]



잡甫龜(고려 고종(서기 1214-1260) 때 경상도 안찰사)





372. 張



[한국]



<安東장씨> 시조 장貞弼(고려 태조 때 三太師(안동권씨 幸, 신안동김씨 宣平, 안동장씨 정필))



<仁同장씨> 시조 장金用(안동장씨 후손)



<德水장씨> 시조 장伯昌(고려 공민왕 때 아랍인으로 귀화)





373. 蔣



[한국]



<牙山장씨> 시조 장壻(송나라 때 아산으로 망명 귀화)





374. 莊



[한국]



중국에서 귀화.



<衿川장씨> 시조 장淑(이조 세종 때 토산 현감)





375. 章



[한국]



시조 장宗行(宋나라에서 귀화. 고려 충렬왕 때 예문관대제학)





376. 墻籬



[한국]



<南原장리씨> 시조 嬖蔚.





377. 長



[중국]



河內에서 남



[한국]



장弼(고려 태조 12년(서기 929)에 大相)



<延豊>, <燕岐장씨>





378. 瀎



[중국]



魏郡에서 남



[한국]



<燕岐장씨>





379. 庄



[한국]



<淸風장씨>





380. 將



[한국]



慶州장씨





381. 場



[한국]



<木川장씨> 牛馬象豚場의 장. 고려 태조 때.





382. 才



[중국]



河東에서 남



[한국]



재萱(고려 태조 17년(서기 934)에 通海鎭鎭頭)





383.在



재忠(고려 태조 10년(서기 927)에 원보)





384. 狄



[중국]



天水에서 남



[한국]



적鐵(고려 태조 원년(서기 918)에 內軍將軍)





385. 全



[한국]



도시조 전晷(백제 개국공신. 歡城君. 온조의 十臣중의 한사람))



<旌善>, <天安>, <龍宮전씨>





386. 田



[한국]



<潭陽전씨> 시조 전得時(고려 예종 때 담양군)





387. 錢



[한국]



시조 전惟兼(고려 공민왕 대 중국 사신으로 와서 최영장군의 妹弟가 됨)





388. 專



[한국]



<陽川전씨>





389. 占



[한국]



일본에서 귀화. 원래 丁씨였다고도 함.



<槐山점씨>





390. 鄭



[한국]



<慶州정씨> 시조 지백호(신라 6촌장)



<瑞山정씨> 시조 정臣保(송나라가 망하자 고려로 망명귀화)





391. 程



[한국]



<한산정씨> 이조 때 중국에서 귀화





392. 井



[중국]



扶風에서 남



[한국]



정宗厚(고려 명종(서기 1171-1197) 때 淸風監務)





393. 廷



[한국]



정顎(고려 태조 13년(서기 930)에 書學박사)



<臨江(長湍)정씨>





394. 貞



[한국]



<楊州정씨>





395. 丁



[한국]



<羅州정씨> 시조 정得盛(신라 문성왕 15년 당나라에서 유배되어 옴)





396. 諸



[중국]



출산지는 琅榊(산동반도, 발해만 부근임). 越나라 대부 제稽의 후손



[한국]



제갈량의 증손인 忠이 신라 미추왕 때 신라에 귀화.





397. 諸葛



[한국]



시조 珪(제갈량의 아버지)의 20대손인 제갈公巡이 신라 흥덕왕 때 들어와 제갈씨의 시초가 됨. 고려 고종 때 형 제갈泓은 제씨로 동생 제갈瀯은 갈씨로 성을 삼았다가 구한말에 다시 복성으로 복귀.





398. 弟



제弓(고려 태조 13년(서기 930) 때 大丞으로 天安府都督使가 됨)





399. 堤



[한국]



<猿山(珍山)제씨>





400. 趙



[중국]



출산지는 天水. 전욱고양씨의 후손. 周나라 穆王이 徐偃王을 공격할 때 造父(趙父라고 함)가 공이 있어 趙城에 봉하였고 秦의 非子(한비자)가 조성에 살았음.



[한국]



豊壤조씨 시조 孟(고려 개국공신. 문하시중평장사. 고려 태조가 사성명(賜姓名). 처음 이름은 岩(바우)) 또는 之蘭(孟의 7대손)). 풍양현은 남양주군(南楊州郡) 진건면(眞乾面) 진접면(榛接面) 일대.



<平壤>, <林川조씨> 시조는 각 宋나라 태조의 7대손인 岐, 庶라고 하고,



<白川>, <漢陽>, <豊壤>, <陽川조씨> 시조는 각각 송태조 7대손인 翼의 아들인 之璘, 之壽, 之淸, 之末이라고 함.





401. 曺



[중국(曹)]



주문왕의 아들인 진탁이 曹나라에 봉해짐.



[한국]



<昌寧조씨> 시조 조繼龍(본래 이름은 金仁平. 신라 진평왕의 사위. 太師. 창녕부원군. 선덕여왕의 남편. 飮(마실=曹)갈문왕) 중시조 겸(고려 태조 사위)





402. 租



[한국]



신라시대 김유신장군의 심복부하로 租未坤(押)이 있다.





403. 鍾



[한국]



河陰종씨(宋나라 桓谷의 아들이 시조임)





404. 宗



[중국]



宗伯(周나라 대부의 후손)



[한국]



종貞(신라 문무왕 때 아찬). 종熙(고려 태조 때 백제군 격파)





405. 種



[한국]



<昆湄(靈光)종씨>





406. 坐



[한국]



<興德좌씨>





407. 左



[한국]



淸州 좌씨의 시조는 亨蘇이다. 좌형소는 春秋戰國시대 魯의 太史 左丘明의 67대손이다. 좌구명은 春秋左氏傳의 저자이다. 좌형소는 元나라 때 하남성 개봉부에 살다가 高麗 元宗 14년(서기 1273) 天官侍朗으로 제주도 監牧官으로 부임하였고 제주도에 조랑말을 최초로 도입한 사람이다. 淸州는 靑州를 대신 쓴 글자인데 청주는 산동성의 청주라 한국에는 없는 지명이기 때문이다. 5대 漢棄가 고려때 최영장군이 제주도에서 일어난 원나라의 반란을 진압한 서기 1372년 3월경 중국을 버리고 한국을 택하여 귀화하였다. 한기는 漢나라를 버리고 고려를 택했다는 뜻이다.





408. 佐



[한국]



<大靜좌씨>





409. 朱



[한국]



<新安주씨> 시조 주潛(宋나라 신안 사람. 朱子의 후손. 아들 餘慶을 데리고 고려 고종 때 나주로 와 망명)



<羅州주씨> 시조(고려 목종 때 상서좌복야. 주잠의 망명 200년전)





410. 周



[한국]



시조 주璜(신라 때 당나라에서 귀화)





411. 珠



[한국]



<慶山주씨>





412. 俊



[한국]



<淸州준씨> 시조 俊良(고려 태조 19년 때 장군)





413. 則



<幸州(高陽)즉씨>





414. 曾



[중국]



晉陽에서 남



[한국]



<鎭江(江華)증씨>





415. 池



[한국]



<忠州지씨> 시조 지鏡(고려 제 4대 광종 11년 고려에 사신으로 왔다가 중국에서 귀화)





416. 智



[한국]



시조 지蔡文(고려 현종 때 거란 격퇴한 명장)





417. 遲



[중국]



太原에서 남



[한국]



지受信(백제가 망한 후 임존성에 웅거해 당나라 유인궤와 싸우다 고구려로 도망)





418. 知



[한국]



利川지씨





419. 直



[한국]



直心(고려 태조 원년(서기 918)에 견훤의 장수로 패사)





420. 陳



[한국]



<麗陽진씨> 시조 진寵厚(고려 17대 인종 때 장군. 선조인 진琇는 송나라에서 고려로 귀화.)





421. 秦



[한국]



<풍기진씨> 시조 진弼明



<제주진씨> 원나라에서 귀화





422. 晉



[한국]



시조 진 含祚(고려 현종 때)





423. 眞



[한국]



<서산진씨> 백제 8대성, 沙, 燕, 嵊, 解, 眞, 國, 木, 昔의 하나





424. 珍



[원]



진布또는 保(元 順帝(서기 1333-1368) 때 郎中)



[고려]



珍景(태조 11년(서기 928)에 康州장군으로 전사)





425. 震



[한국]



<江華진씨>





426. 車



[한국]



<延安차>씨 시조 孝全(문화유씨 시조 유차달의 장자. 원래는 왕씨로 왕수긍의 후손 왕琳이 田, 申, 車로 성을 바꾸고 이름을 無一이라 하였음)). 차建甲(차씨 32대손. 신라 소성왕 때 승상). 차承穡(柳穡. 신라 애장왕 대 충신으로 애장왕의 숙부가 반란을 일으키자 원수를 갚으려다 황해도 구월산으로 도망가서 성을 유씨로 바꿈)





427. 察



미상





428. 倉



<牙山창씨>





429. 昌



[한국]



<公州>, <牙山창씨> 황제헌원의 아들인 昌慧의 후손이라 함





430. 蔡



[한국]



제곡고신씨의 아들 契의 후손으로 은나라가 망하자 箕子를 따라 단군조선에 귀화.



<平康채씨> 시조 채元光(신라 내물왕 사위인 채輔漢의 후손)





431. 菜



[한국]



<진주채씨> 시조 미상





432. 采



[한국]



<礪山채씨>





433. 책(羽皚合字)



[중국]



南陽에서 남



[한국]



<林川책씨>





434. 冊



[한국]



<豆毛村(全州)책씨>





435. 拓



[한국]



척俊京(고려 인종 때 문하시중)





436. 千



[한국]



<顚陽천씨> 시조 천巖(明나라 초기). 천萬里(임진왜란 때 참전. 정유재란 때 참전하여 귀화)





437. 天



[한국]



<延安천씨> 냇가에서 거두어 길렀는데 보통사람이 아니라서 성을 천으로 삼음





438. 泉



[한국]



고구려 영양왕(서기 590-618). 櫖陽武元好太烈帝) 때 천씨





439. 遷



[한국]



<全州>, <慶州>, <金海>, <原州천씨>





440. 甲



미상





441. 楚



[한국]



<星州초씨> 시조 초海昌(明의 한림학사로 이조 인조 때 명나라가 망할 때 망명귀화)





442. 肖



[한국]



<濟州초씨>





443. 燭



[한국]



<金海촉씨>





444. 聰



[한국]



총逸(고려태조 원년(서기 918)에 韓粲)





445. 崔



[한국]



시조 蘇伐都利(신라 6촌의 하나인 突山高墟村인 沙梁部의 촌장. 후삼한인 한반도 辰韓의 건국자 소백림의 후손)



<慶州최씨> 시조 최치원(소벌도리 23대손)



<全州최씨> 시조 최均(고려 명종 때 예부상서 추증. 최치원 후손)



<全州최씨> 시조 최群玉(최치원 선대)



<東州(철원)최씨> 시조 최俊邕(고려 개국공신. 최치원 선대?)



<海州(고산)최씨> 시조 최溫(해동공자 최沖의 아버지)



<朔寧최씨> 시조 최 兪嘉(瑜價. 고려 명종 때 문하시랑평장사. 최치원 선대)



<隨城최씨> 시조 최永奎(원래 金씨. 신라 경순왕 16세손. 고려 충렬왕 때 사성받음)



<開城최씨> 시조 최佑達(신라말 大相. 최치원 선대)





446. 秋



[한국]



秋溪추씨 시조 추適(고려 충렬왕 때 문하시중. 명심보감 저자)





447. 鄒



[한국]



추勃素(고구려 대무신왕 때 . 추許祖(왕건에게 사로잡힌 견훤의 부하장수)





448. 追



[한국]



<開城추씨>





449. 忠



[중국]



豊翊에서 남



[한국]



충仁(고려 태조 11년(서기 928)에 元尹)





450. 卓



[한국]



<光山탁씨> 시조 탁之葉(고려 한림학사. 태사. 광산군)





451. 濯



[한국]



<井邑탁씨>





452. 彈



[한국]



<海州>, <晉州탄씨> 미상





453. 呑



[한국]



<延安탄씨>





454. 憚



[한국]



<延安탄씨>





455. 炭



[한국]



<仁川>, <晉州>, <延安탄씨>





456. 太



[한국]



<浹溪태씨> 고려에 귀화하여 변성했다고 함. 원래 대씨. 대진국의 건국자는 대조영임.





457. 泰



[한국]



태評(고려 태조 원년(서기 918)에 循軍郞中)



<南原태씨>





458. 台



미상





459. 苔



[한국]



<豊角(密陽)태씨>





460. 宅



[한국]



<槐山택씨>





461. 澤



[한국]



<孝靈(君威)택씨>





462. 巴



[중국]



高平에서 남. 파圖魯(元나라 세조(서기 1260-1295) 때 河東사람으로 본래 劉씨인데 성명을 하사받음)



[한국]



파達(고려 태조 18년(서기 935)에 神劍將)





463. 判



[한국]



<海州판씨> 미상





464. 板



[한국]



<東萊판씨>





465. 彭



[한국]



<龍岡팽씨> 시조 팽炢(고려 의종 때)



<浙江팽씨> 시조 팽友德(임진왜란 때 명나라 장군의 후손





466. 片



[한국]



시조 편碣頌(임진왜란 때 명나라 摠節使)





467. 扁



[한국]



<熙川편씨>





468. 平



[한국]



<豊德>, <順天평씨> 8.15해방후에 나타남





469. 包



[중국]



上黨



[한국]



<順天포씨>





470.



[한국]



<新昌표씨> 시조 표繼(이조 성종 때)





471. 票



[한국]



표 海常(조선 영조(서기 1725-1776) 때 표류해 옴)





472. 標



[한국]



<臨津(長淵)표씨>





473. 馮



<임구풍씨> 시조 풍三仕(명나라 말기 의병을 일으켜 심양에 억류되었다가 병자호란 때 효종이 귀국시 따라와 귀화)





474. 祯



[중국]



京兆



[한국]



풍順(고려 정종(서기 1035-1046) 때 감찰어사)





475. 皮



[중국]



周나라 樊仲皮가 공명이 있어 皮를 성으로 삼음.





476. 弼



[한국]



大興필씨 시조 필夢良(武人)





477. 疋



미상





478. 河



[한국]



<晉州하씨> 시조 하拱辰(고려 현종 때 상서공부시랑)





479. 夏



[한국]



<달성하씨> 시조 하欽(송나라에서 고려 17대 인종 때 귀화)





480. 何



[중국]



廬江



[한국]



<永平>, <乳石(영평)>, <林述(舒川)>, <道民(南平)하씨>





481. 賀



[중국]



廣平



[한국]



<瓮津하씨>





482. 韓



[한국]



<청주한씨> 시조 蘭(기준의 후손인 友諒의 후손. 友誠은 기씨, 友平은 선우씨의 원조임))





483. 漢



[한국]



<충주한씨> 시조 미상





484. 咸



[한국]



시조 함赫(당나라 측천무후 때 大司馬將軍으로 신라에 귀화)





485. 合



[한국]



<喬洞합씨>





486. 解



[중국]



출산지는 平陽. 요임금 唐나라 叔虞의 후손. 解狐(周靈王 때). 解萬年(漢成帝 때). 解揚(晉나라 大夫)의 후손.





487. 海



[한국]



<金海>, <寧海해씨> 明나라 태조 때 귀화





488. 幸



[중국]



雁門



[한국]



<長平(昌平)>, <寧越행씨>





489. 香



[중국]



齊郡



[한국]



향南(고려 태조 원년(서기 918)에 物藏卿)





490. 鄕



[한국]



<興德향씨>





491. 許



[한국]



시조 許黃玉(김수로왕비. 인도 아유타국 공주. 10아들 중 두아들이 허씨로 받음. 장자는 제 2대 왕. 7아들은 불가에 귀의하여 지리산에서 수도하여 7佛이 됨. 7불암이 있음)





492. 赫



[한국]



혁熊(고려 현종 11년(서기 1020)에 遂安縣軍으로 전사)



<永豊(安邊)혁씨>





493. 玄



[한국]



<延州현씨> 시조 賈胤. 고려명종 때 문하시랑평장사. 景憲公. 평안북도 영변(寧邊)이 연주임.





494. 縣



[중국]



扶風



[한국]



현逈(고려 태조 원년(서기 1918)에 物藏省令)





495. 俠



[한국]



新溪협씨





496. 邢





497. 刑



[중국]



河間



[한국]



형積(고려 태조 초 견훤의 장군으로 패사)



<朝宗(加平)>, <槐山형씨>





498. 荊



[중국]



廣陵



[한국]



<斑城(晉州)>, <安心(河陽)형씨>





499. 笨



[중국]



痳國



[한국]



<忠州>, <長興>, <靈岩>, <鎭南(영암)>, <壽城(대구)혜씨>





500. 扈



[한국]



도시조 호義(고려 개국공신. 평장사)





501. 胡



[한국]



시조 胡克己(宋나라 한림학사 胡安國의 15대손. 明나라 말기 한림학사로 인조 21년 청나라에 망하자 망명귀화)





502. 好



[중국]



河南



[한국]



<大邱>, <海州호씨>





503. 洪



[한국]



<唐洪派> 홍殷悅(고려초기 삼중대광 태사. 당나라에서 문화사절로 왔다가 귀화)



<土洪派> 홍先幸(고려 고종 때 金吾衛別將)





504. 弘



[한국]



<全州홍씨>





505. 化



[한국]



<나주화씨> 미상





506. 花



[중국]



東平



[한국]



<天安>, <豊歲(천안)화씨>





507. 華



[중국]



武陵



[한국]



<臨河(安東)>, <長楊(淮陽)화씨>





508. 桓



[중국]



痳國



[한국]



<陰竹환씨>





509. 邢



[한국]



시조 형順(고려 태조 때)





510. 黃



[한국]



원시조 黃洛(後漢 광무제 4년 신라 유리왕 5년 때 평해 丘씨 시조인 구대림장군과 함께 사신으로 가다가 풍랑을 만나 평해에 도착)





511. 皇甫



[한국]



<永川황보씨> 시조 皇甫溈(신라 말기 당나라에서 귀화). 증손이라는 能長을 시조라고도 함. 황보능장은 고려태조 왕건 때 창업공신으로 금강성(金剛城) 장군이었다. 영천부원군으로 봉함을 받고 경북 영천군 일대를 식읍으로 받아 영천이 본관이 되었다.



조선 단종 때 사육신의 한사람인 황보인(皇甫仁)이 유명하다.





512. 孝



[중국]



平原





513. 后



[한국]



<器寅후씨> 중국에서 귀화





514. 훵 (말馬책받침변合字.喧應切)



[한국]



延安지방에 있었다





515. 昕



[한국]



<醴泉흔씨> 시조 迪臣(保勝別將).



* 醴泉權씨는 원래 흔씨로 고려 충목왕의 이름이 흔이므로 외가의 성씨를 쓴 것임.

댓글 없음: